아이키도 삼성당에서 제공하는 오늘의 영상은 '맞닿기만 했는데 우케가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를 다룹니다.
우케가 일어나지 못하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토리가 우케의 무게중심을 컨트롤하는 것이고, 둘째, 우케가 저항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토리는 접촉점을 통해 우케의 무게중심을 제어합니다. 유도의 곁누르기나 십자누르기처럼 상대의 무게중심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것과는 달리, 아이키도는 신체 말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무게중심을 컨트롤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케의 머리가 세워지지 않도록 신경을 씁니다. 사람은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앉거나 일어서기 쉬운데, 머리가 세워지면 몸도 세워지고, 머리가 숙여지면 몸도 따라 숙여지기 때문입니다. 머리가 돌면 몸도 그 방향으로 움직이려 하죠.
이런 원리는 예를 들어 누운 상태에서 작은 덤벨을 손에 쥐고 만세를 한 채 일어나기 힘든 것과 비슷합니다. 또는, 파트너에게 이마를 가볍게 눌러 달라고 하고 일어나려 해보시면, 고개를 세우지 못한 채로 일어서기 어렵다는 점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의자에 앉아 있을 때도, 파트너가 이마를 앞으로 밀어 고개를 숙이지 못하게 하면 쉽게 일어나지 못하게 됩니다. 이 원리를 잘 활용하면 손가락 하나로도 큰 사람을 의자에서 꼼짝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거창하게 설명할 수도 있겠지만, 원리를 알면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두 번째로, 우케가 일어나지 못하는 현상은 우케의 태도에 따라 달라지기도 합니다. 영상에서도 볼 수 있듯이 우케가 저항하려 할수록 오히려 일어나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이 점이 글의 첫 문장 주어를 '우케'로 쓴 이유이기도 합니다. 우케가 저항할 생각이 없다면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고, 이때는 토리의 대응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영상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즉, 토리가 우케와의 힘의 균형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활용하는 것이 기술입니다.
合気道三誠堂が提供する今日の映像は、「接触するだけで受けが起き上がれない場合」をテーマにしています。
受けが起き上がれない理由は二つあると思います。一つ目は取りが受けの重心をコントロールすること、二つ目は受けが抵抗することです。
まず、取りは接触点を通じて受けの重心を制御します。柔道の抑え込みのように相手の重心を直接制御するのとは異なり、合気道では身体の末端を通じて間接的に重心をコントロールする点が特徴です。
この過程では、受けの頭が起き上がらないように注意を払います。人間は頭の動きに合わせて座ったり立ち上がったりしやすく、頭が上がると体も起き上がり、頭が下がると体も下がるからです。頭が向きを変えると、体もその方向に動こうとします。
この原理は、たとえば仰向けの状態で小さなダンベルを手に持って万歳をしたまま起き上がるのが難しいのと似ています。また、パートナーに額を軽く押さえてもらいながら起き上がろうとすると、頭を上げられないために立ち上がりづらいことを体験できます。椅子に座っているときにも、パートナーが額を前に押し、頭を前に倒せないようにすると、立ち上がるのが難しくなります。この原理をうまく活用すれば、指一本でも大柄な相手を椅子から動けなくすることができます。
もちろん、大げさに説明することもできますが、原理を知ればごく自然な話です。
二つ目に、受けが起き上がれない現象は、受けの態度によっても変わります。映像でもわかるように、受けが抵抗しようとするほど、かえって起き上がりにくくなります。この点が、この文の最初の主語を「受け」にした理由でもあります。受けが抵抗する気がなければ、この現象は起こりにくくなり、その場合は取りの対応がより重要になります。詳しくは映像で説明しています。
つまり、この「技」とは、取りが受けとの力の均衡を自分に有利に利用することから生まれるものだと私は思っております。
Today’s video from Aikido Samsungdang covers the topic of “When just touching prevents Uke from getting up.”
There are two reasons why Uke may be unable to get up. The first is that Tori controls Uke’s center of gravity, and the second is Uke’s resistance.
Firstly, Tori controls Uke’s center of gravity through the contact point. Unlike Osae-waza techniques in Judo, which directly control the opponent’s center of gravity, Aikido does so indirectly through the extremities.
During this process, Tori makes sure that Uke’s head does not rise. People tend to sit down or stand up based on head movement—if the head rises, the body follows; if the head drops, so does the body. If the head turns, the body tries to move in that direction as well.
This principle is similar to the difficulty of getting up from a lying position with small dumbbells in each hand held overhead. Or, you can ask a partner to gently press on your forehead as you try to get up; without being able to lift your head, standing becomes difficult. Sitting in a chair, if a partner gently pushes your forehead forward to prevent your head from bowing, you will also find it challenging to stand. When used effectively, this principle allows even a single finger to keep a larger person immobilized in a chair.
This explanation may be able to explained in grandiose manner, but once you understand the principle, it’s a natural effect.
Secondly, the phenomenon of Uke’s inability to get up also depends on Uke’s attitude. As shown in the video, the more Uke tries to resist, the harder it is to stand. This is why “Uke” is the subject of the first sentence in this text. If Uke has no intention of resisting, this effect is less likely to occur, and in such cases, Tori’s response becomes more crucial. The video also explains this in detail.
In essence, this “phenomenon” stems from Tori’s ability to use the balance of forces with Uke to their advantage, I believe.
Comentarios